야구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심판의 스트라이크, 볼 판정에 대해 의아해 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그 결과 AI 심판을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꾸준히 나왔었습니다.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해 불만을 가진 오재원선수

올 여름 KBO는 지금까지 논란이 되었던 판정들을 더 공정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프로야구 2군 리그인 퓨처스리그에서 로봇 심판을 시범운영 했습니다.

 

로봇심판

 

로봇심판의 원리는 트래킹 시스템으로 간단합니다.

 

 

 

야구장에 설치된 3대의 카메라가 마운드, 홈플레이트, 베이스등 고정 위치 정보를 토대로 공을 실시간 추적합니다.

 

투수가 공을 던지면 투구에 대한 정확한 위치값을 데이터로 판단하게 됩니다.

 

데이터를 통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단하고,

 

공이 포수의 글러브에 들어가면 로봇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나오는 음성이 주심의 이어폰으로 전달됩니다.

 

 

 

로봇 심판에 대해 선수들과 심판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지난 해부터 로봇 심판을 도입한 미국에서는 정확도를 더 높여야 한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확도를 높인다면

로봇 심판 도입이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leeds123

,

대중들이 느끼는 체감도는 낮지만 빅데이터는 이미지분석, 사용자 추천 광고 등 많은 곳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관리, 활용이라 하면 복잡하고 어려워 보여서 일반인은 다루지 못할 것 같지만,

구글, 네이버 등 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빅데이터를 통해 나온 분석, 통계, 관련 키워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Google Trends

trends.google.co.kr/trends/?geo=KR

 

Google 트렌드

 

trends.google.co.kr

 

구글 트렌드 서비스는 구글에서 서비스 중인 검색어와 시청한 동영상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입니다.

 

 

구글 트렌드 서비스 메인 홈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전 세계 검색 현황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전 세계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고, 트랜디한 사이트 디자인과 UI가 타 사이트와 구별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장 큰 검색 엔진을 가진 기업인 구글 답게 분석 대상 데이터의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의미있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2. 네이버 데이터랩

 

datalab.naver.com/

 

네이버 데이터랩

네이버의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 제공

datalab.naver.com

네이버 데이터 랩에서는 네이버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과 관련한 데이터를 개방합니다.

분야별 인기 검색어나 실시간 급 상승 검색어, 검색어 트렌드, 지역별 분야별 인기 검색어, 공공 데이터 등

다양한 시사점을 찾아 볼 수 있는 검색어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국내에 특화된 데이터와 세분화된 검색 결과가 나온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검색어 트랜드 창에서 원하는 키워드를 설정하고, 기간과 기간 범위 설정이 가능하며 성별, 연령 등 기타 설정을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편하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Data USA

datausa.io/

 

Data USA

The most comprehensive visualization of U.S. public data. Data USA provides an open, easy-to-use platform that turns data into knowledge.

datausa.io

공공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사이트입니다. 미국 정부와 딜로이트, MIT미디어랩, 데이터휠 등 3개 기업이 합작해 만든 곳으로 공공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인포그래픽으로 보여줍니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와 관련된 중요 데이터를 표, 그래프, 지도 등 시각적인 자료로 제시됩니다.

 

 

4. ODPia

www.odpia.org/main.odpia

 

ODPia Main

제주 여행 가이드, A부터 Z까지! 제주 여행 가이드, A부터 Z까지!-데이터 분석을 통한 제주도의 숨겨진 명소 찾기-무더운 여름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 요즘,많은 사람들이 피서를 위해 국내 및 해외

www.odpia.org

LG CNS가 구축한 오디피아(ODPia)는 오픈데이터 플랫폼과 유토피아의 합성어로, 빅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오픈 데이터 플랫폼입니다. SNS 데이터 분석, 공공 데이터 시각화, 애플리케이션 등록, 데이터 분석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 파악과 라이프스타일 분석에 용이합니다.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알려드렸습니다.

자신에게 알맞은 사이트를 기억해 두셨다가 필요할 때 활용 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출처 :

www.bloter.net/archives/369220

 

유용한 ‘데이터 시각화’ 정보 사이트 모음

4가지 기준으로 정리한 데이터 시각화 정보를 찾기 유용한 사이트 방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시각화. 어렵기만 한 데이터를 분석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www.bloter.net

m.blog.naver.com/basty/221830705259

 

구글 트렌드 vs. 네이버 데이터랩 내가 분석하는 빅데이터

#빅데이터 #분석 #구글 #트렌드 #네이버 #데이터랩 #비교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2개의 빅데이터 분석 사...

blog.naver.com

 

블로그 이미지

Chaetak

,

안녕하세요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이동섭입니다!

.

.

오늘은 요즘 유튜브 안보는 사람을 찾기 힘들정도로

인기가 많은 유튜브에 대해서 설명해보려합니다. : )

.

.

다들 동영상 1개만 보려고 유튜브를 들어갔다가

나도 모르게 한 시간이 훌쩍 지나버린 경험이 있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추천동영상 목록

 

그래서 오늘은 그런 경험을 하게만든

유튜브 추천동영상이 어떤 원리로 추천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

사실 유튜브측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의 동작방식을 공개한 적은 없습니다.

영업 비밀이기 때문인데요. 

.

.

하지만 보편적인 원리는 알려져있습니다.

.

.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과

'콘텐츠 기반 필터링(Content-based filtering)' 입니다.

.

.

먼저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협업 필터링은 아이템 기반 추천이용자 기반 추천으로 나뉩니다.

.

.

아이템 기반 추천

 

아이템 기반 추천의 예를 들면 내가 만약 콜라를 구매했다면,

탄산 음료중 사이다를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이용자 기반 추천

 

이용자 기반 추천

같은 그룹의 사람이 햄버거를 살때 감자튀김과 콜라도 같이 샀다면,

햄버거를 살때 감자튀김과 콜라를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

.

협업 필터링의 장점은 개인의 취향을 정밀하게 파악 한다는 것이고,

단점은 데이터가 없으면 추천이 어려워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나 새로 나온 상품은 추천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

.

.

다음으로는

'콘텐츠 기반 필터링(Content-based filtering)' 의 예시입니다.

콘텐츠 기반 필터링

 

만약 한 사람이 포카칩과 포테토칩을 좋아한다면

프링글스도 좋아할까요?

.

프링글스가

포카칩과 포테토칩와 같이 감자로 만들었고,

짭잘한 맛이라는 공통점이 있기때문에

좋아할 것이라고 예상이됩니다.

.

.

.

콘텐츠 기반 필터링의 장점은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단점은 '메타 정보의 한정성' 즉 상품의 프로파일을 모두 함축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

.

아마 유튜브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멜론 등등 다양한 기업에서

밝히지 않는 추천원리가 있겠지만,

그런 원리 기반에는 

오늘 소개해드린 보편적인 원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리이니

유익한 정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이동섭이었습니다! : )

 

 

출처 : news.kbs.co.kr/news/view.do?ncd=4325229,brunch.co.kr/@biginsight/15,

 

[크랩] “나한테 왜 이걸?”…유튜브 영상 추천 알고리즘의 비밀!

자기 전에 유튜브를 내리다 보면 클릭을 거부할 수 없는 영상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아니 여태 내가 봤던 ...

news.kbs.co.kr

출처 : 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71

 

[Sci&Tech] ‘취향 저격’ 영상 추천하는 ‘유튜브 알고리즘’ 원리!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오늘도 자기 전 아무 생각 없이 유튜브 앱을 켰다. 뜬금없이 피드에 ‘두더지가 농작물에 주는 피해와 잡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떴다. 홀린 듯이 들어가 9분 정도 되는 영상을 봤다.

www.edujin.co.kr

출처 : brunch.co.kr/@biginsight/15

 

추천 알고리즘, 내 취향을 어떻게 그렇게 잘 알아?

집단지성에서 파생된 협업 필터링과 최신 추천 알고리즘 알아보기 | 평범한 다수가 똑똑한 소수보다 낫다. 여러분은 이 말에 동의하시나요? 제임스 서로위키(James Surowiecki)는 『Wisdom of Crowds』라

brunch.co.kr

 

'Big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활용 사이트 추천  (0) 2020.11.20
빅데이터로 본 코로나 19 영향  (0) 2020.10.30
블로그 이미지

leeds123

,

1년 가까이 그 추세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으며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닌 코로나 19. 덕분에 우리의 생활 양식도 크게 바뀌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뉴욕타임즈에서 바뀐 미국인들의 소비 동향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바 있습니다. 

 

뉴욕타임즈에 개시된 미국인들의 소비 동향.

 

 

보다시피, 다른 품목과는 상반되게 코로나 사태 이후 생필품의 소비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나라는 어떨까요? 

 

외식 ,여행 등의 소비는 급감한 것에 비해 마트와 편의점 이용 비율이 크게 늘었다.

마트와 편의점 매출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급격히 늘었습니다. 스포츠의 경우는 줌바댄스 집단 감염을 기점으로 크게 소비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때 매출이 전년도의 10%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부문 고용과 산업 상황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식료품을 미리 사두려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마트의 온라인 판매, 그리고 집 앞에 있는 편의점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데이터 수집이 '실시간'으로 집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확인한 것처럼 어느 부문이 피해가 심각한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특별히 피해가 심각했던 업종, 회복이 더딘 업종을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현재 우리의 기술력은 확진자 경로를 파악하고, 어느 곳이 감염 위험군인지 알 수 있는 수준까지 와 있습니다.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여갈 수 있다면. 좀 더 정확하고 현실을 반영한 지원을 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news.kbs.co.kr/news/view.do?ncd=4436530), (ncov.mohw.go.kr/)

블로그 이미지

positivenumber

,

증강현실(AR) 은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의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처음에는 전투기 조종사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로 기술 개발이 시작되었지만, 아이폰에서의 AR 어플, 포켓몬 Go 등을 통해 전세계 사람들이 AR 기술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가상 정보를 겹쳐서 보여주는 증강현실 기술은 산업현장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게임, 의류, 유통, 광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의 여파로 기업들의 재택근무가 늘고 있어서 출장이나 대면 업무를 처리하는 대안으로 AR 기술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맥스트의 증강현실(AR) 원격지원 솔루션 '맥스워크 리모트 서비스' 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비숙련 근로자가 반도체 정비를 태블릿 PC로 비추어 주면 실제 사물 위의 문자와 동그라미 엑스 같은 이미지가 겹쳐서 뜨게 됩니다. 이 표시들은 점검사항을 단계별로 알려 주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 비숙련 근로자도 쉽게 원거리에 있는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돌발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가 비대면 문화를 빠른시간에 확산시키면서 사람이 직접가지 않아도 생생히 소통할 수 있는 '실감경제시대'가 10년정도 앞당겨 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실감경제시대의 기본이 되는 5G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을 뿐더러 중소기업 육성책이 일환으로 스마트공장의 속속 도입되고 있는 것도 국내 AR 산업의 긍정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앞으로의 AR 기술의 발전이 사회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불러올지 기대를 해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Chaetak

,

안녕하세요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이동섭입니다!

오늘은 몇 년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있는 자율주행에 대해서 소개해보려합니다.

자율주행에서도 판교의 '제로셔틀'에 대해서 시작해보겠습니다! :)

 

자율주행차 제로셔틀

먼저 위 사진은 제로셔틀의 모습입니다.

제 첫인상은 아주 작은 버스 이미지입니다.

이미지로는 작아보이지만, 11명까지 탑승 가능하고, 판교역부터 제2테크노밸리까지(5.5km)를 시속 25km로

운행한다하니 약간 느리고 작은 마을버스정도라 생각됩니다.

 

 

제로셔틀

왜 이름이 '제로셔틀'인지도 궁금하실텐데요,

제로셔틀은 배기가스와 사고가 없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사고가 없다는 이름만큼 사고가 일어나지 않게 자율주행이더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럼 이제 '제로셔틀'의 AI(첨단 지도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로셔틀에는 주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해 8개의 라이다와 2대의 카메라, 1개의 레이더센서가 장착돼 있습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제로셔틀 안에있는 첨단 지도정보로 보내집니다.

 

또한, 도로위 교통흐름은 매번 바뀌기 때문에

관제센터에서 첨단 지도정보로 도로상황, 주변 교통흐름, GPS 보정, 차량 내부 상황을 보냅니다.

 

도로에는 교통신호가 있으니 교통신호도 지켜야겠죠?

그래서 첨단 지도정보는 교통신호에 설치된 제어기로부터 관련 정보를 받아 교통신호를 지키며 운행합니다. 

 

이렇게 많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AI가 제로셔틀을 운행하는 것입니다.

 

 

도로 위 주행중인 제로셔틀

 

이렇게 AI(자율주행)는 생각보다 빨리 우리 곁으로 다가왔다고 생각이 듭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제로셔틀에 대한 규제가 줄어들었다하니,

앞으로 더 완벽한 자율주행이 나오길 기대가 됩니다.

 

사실 '제로셔틀'은 2018년 9월 4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저도 판교를 매일은 아니지만 자주가는 편인데, 이 글을 쓰면서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이제 판교를 갈 일이 생긴다면 도로를 관심갖고 볼 예정입니다. : )

 

이상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이동섭이었습니다!

 

 

최근에 개그맨 김구라씨가 시승해보고 가셨네요!

youtu.be/GAFnPRyC6ng

 

출처 : 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6709

 

국내 첫 자율주행차 ‘제로셔틀’ 내달 4일 판교서 시범운행 돌입 - 기호일보

경기도가 제작한 국내 최초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 ‘제로셔틀’이 시범운행에 들어간다.도는 다음 달 4일 오전 10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앞 광장에서 이재명 경기지사와 김정렬

www.kihoilbo.co.kr

출처 : gnews.gg.go.kr/OP_UPDATA/UP_DATA/_FILEZ/201809/20180904150338625999845.jpg

출처 : blog.naver.com/skandhkrkd98/222121074378

 

제4회 판교자율주행모빌리티쇼 현장 취재 / 제로셔틀 타본 사람 있나 HOXY~?

1. PAMS 2020 행사 소개​​PAMS 2020은 판교역 3번 출구 앞 광장 및 제1테크노밸리 일원에서 진행...

blog.naver.com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심판] 프로야구 AI 심판 도입  (0) 2020.11.22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문제  (0) 2020.10.11
블로그 이미지

leeds123

,

youtu.be/ixIoDYVfKA0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딜레마 |패트릭 린(Patrick Lin)

 

아무리 운전을 완벽하게 하고, 주변 상황을 철저한 체계아래 분석하며 사고를 내지 않도록 설계한 자율주행자동차도

언젠가는 사고를 낼 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자율 주행 자동차의 경우 주행 중 맞닥뜨릴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따른 도덕적인 결단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해 놓아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더더욱 복잡해집니다.

 

나이가 많은 노인보다 어린아이가 가진 미래의 잠재력이 더 크고, 경제적으로도 가치가 더 크니 어린아이를 우선으로 살리는 것이 옳은지, 사회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범죄자를 우선적으로 치는 것이 옳은지 등의 많은 윤리적인 논쟁거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만약 누군가의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자동차가 어느 쪽의 희생을 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2014년,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의 컴퓨터 과학 연구팀의 ‘도덕·머신(Moral Machine)’라는 퀴즈식 실험에 따르면

나라나 지역, 그 나라의 발전 정도 등에 따라 사람들의 선택이 크게 달랐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애완동물보다 인간을 보호한다는 것에 관해서는 나이, 성별, 국가나 지역을 불문하고 공통적인 답변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어지는 질문에서는 세분화 되기 시작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크게 3개 그룹으로 나뉘는데,

우선 북미나 유럽 제국을 포함한 기독교가 지배적인 A그룹 국가. 다음으로, 일본이나 인도네시아 등 유교나 이슬람교가 강한 B그룹 국가. 마지막으로 중남미 등 구프랑스 식민지의 C그룹 국가로 구분된다고 밝혔습니다. A그룹 국가는 B그룹에 비해 노인보다 젊은이를 구하는 일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더욱이 콜롬비아 등 빈부의 차가 큰 나라 사람들은 더 낮은 지위의 사람을 희생시키는 것을 택하였고, 강력한 법치국가인 일본이나 핀란드는 ‘불법’으로 도로를 가로지르는 사람에 대해 냉정한 조치를 취하는 선택을 했다고 합니다. 이 실험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나라의 역사적·종교적 배경이나 경제적, 구조적인 요인이 사람들의 윤리의식에 깊이 얽혀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판단은 각 문화/사회권의 평균적인 인식에 맞춰야 한다는 의견있는 반면,

 

한편으로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판단은 개인에게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개인 운전자에게 사전에 불가피한 상황이 될 경우, 어떤 기준에 맞추어 우선순위를 정할 것인가를 개인에게 맡겨야지 일괄적으로 회사나 국가에서 정한 방침으로 자율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개인의 자유,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것입니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인간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새로운 산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허나 사회적인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현화는 힘들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자율 주행 자동차가 가지는 윤리 문제를 고민하며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합니다.

 

참고

blog.rightbrain.co.kr/?p=9003

 

누구를 죽일 것인가? –인공지능과 트롤리 딜레마- | 라이트브레인 블로그

트롤리 딜레마 (Trolley Problem)이라는 실험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열차가 선로를 따라 달리고 있고, 선로 중간에서는 인부 다섯 명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 손에는 열차의 �

blog.rightbrain.co.kr

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786

 

AI 자율주행차, 윤리적 딜레마 문제 - AI타임스

(AI타임스=윤광제 기자) 운전자가 없더라도 우리가 원하는 장소로 옮겨다 주는 꿈같은 자동차의 실현이 눈앞에 다가왔다. 하지만, 만약 이 ‘꿈의 차’가 살인기계가 될 가능성이 있다면, 당신은

www.aitimes.com

 

블로그 이미지

Chaetak

,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블록들을 체인처럼 묶은 형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개인과 개인의 거래(P2P)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가 됩니다. 

이런 블록들은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사슬(체인)’의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모든 사용자가 거래내역을 보유하고 있어 거래 내역을 확인할 때는

모든 사용자가 보유한 장부를 대조하고 확인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은 ‘공공 거래장부 ’ 나 ‘분산 거래장부 ’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한 간단한 예시 입니다.

 

 

홍길동과 홍길서의 금전거래 내용이 기록된 거래 장부가 있다. 두 사람의 거래 내역이 시간대별로 순서대로 기록되어 한 페이지를 채운다. 홍길동과 홍길서가 서로 거래내역 한 장을 복사해서 서로 나누어 갖는다. 이때 거래 장부를 두 사람만가지고 있어서 한사람이 거래내역을 조작한다면 서로 다투게 된다.

즉, 거래 장부를 가진 사람이 두 사람인 경우는 한사람이 거래내역을 조작하면 누가 맞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세 사람이 같은 장부를 가지고 있으면 한사람이 조작을 하더라도 나머지 사람이 비교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둘이서 서로 짠다면? 만약 100명 또는 1,000명이 같은 장부(분산장부)를 가지고 있다면? 장부를 가진 사람이 많을수록 조작하기 어렵지 않을까?

또한 거래 장부에 새로 추가되는 페이지가 이전페이지와 암호로 연결되어 있어 아무나 추가할 수 없게 한다면? 오직  이전페이지와 연결되는 암호를 발견한 사람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암호를 발견한 사람에게는 보상(코인형태)이 주어진다.

 출처: <www.msit.go.kr/webzine/posts.do?postIdx=325>

블록체인의 특징은?

 

예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블록체인은 분산저장을 한다, 중앙 관리자가 필요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거래 방식에서 데이터를 위·변조하기 위해선 은행의 중앙서버를 공격하면 가능했습니다.

번번히 은행 전산망 해킹 사건이 일어났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현실적인 위협인 셈입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여러 명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위·변조가 어렵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변조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거래 데이터를 모두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킹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또한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자가 필요 없다는 점도 특징으로 꼽힙니다. 은행이나 정부 등 중앙기관이나 중앙 관리자가 필요했던 것은 공식적인 증명, 등기, 인증 등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다수가 데이터를 저장, 증명하기 때문에 중앙관리자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블록체인의 활용범위 및 전망

 

블록체인 기술로는 물류/문서 관리시스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저작권관리 시스템, 소셜미디어관리 시스템, 게임아이템관리 시스템, 전자투표 시스템, 신원확인 시스템 등 정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중개기관이 필요 없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인류는 새로운 거래 방식과 조직 운영 원리를 바탕으로 과거 인터넷 기술이 가져온 것 이상의 큰 사회적 변화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참고:

www.msit.go.kr/webzine/posts.do?postIdx=325

 

‘블록체인’이 뭐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웹진 2018년 월

지금 전 세계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통화의 열풍에 휩싸여 있다. 비트코인을 만든 기반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불리는 블록체인으로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

www.msit.go.kr

www.samsungsds.com/global/ko/support/insights/Blockchain_matters_ko.html

 

블록체인 - ' 왜 중요한가 ' 각광받는 이유와 기업들의 활용사례

블록체인 - ' 왜 중요한가 ' 각광받는 이유와 기업들의 활용사례

www.samsungsds.com

media.fastcampus.co.kr/knowledge/wtf_blockchain_bitcoin/

 

그래서, 블록체인이 뭔데? (WTF is blockchain?) -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작년 말 우리나라를 휩쓸고 간 비트코인 광풍으로 그 비트코인의 원천 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탈��

media.fastcampus.co.kr

 

블로그 이미지

Chaetak

,